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4년 2차전지 섹터 점검
    주식 투자 2024. 2. 8. 18:28
    반응형

     

     

    일단 작년 하반기부터 1월까지 하락이 진행되었기에 개인적으로는 매력적인 가격으로 판단하고 있다.

    에널리스트 및 뉴스에서 말하는 이번 하락기의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리튬가격 하락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
    • 전기차 판매 둔화
    • 중국 2차전지의 점유율 증가

    리튬가격의 하락에 따른 영업이익의 감소는 2023년 3분기부터 지속적으로 반년 넘게 이야기 나오고 있다. 리튬가격의 하락은 현 시점 기준으로 보합세로 더 이상의 하락은 쉽지 않다는게 중론이다. 또한, 영역이익이 감소한 이유는 비싼 가격에 리튬을 사와서 싼가격으로 판매를 해야되는 상황이었기에 영업이익이 줄어들 수 밖에 없는 상황이였다. 다만, 이제 리튬가격의 하락이 멈추고 그동안 고가에 매입한 리튬의 재고소진이 된 현 상태에서는 주가하락의 이유로 볼 수는 없을 듯 하다. 오히려 이제는 싸게사서 싸게 파는 상황이므로 작년 높은 가격으로 리튬을 구입했을 때보다 영업이익은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보인다.

    출처 : 한국자원정보서비스
     

    전기차 판매 둔화는 솔직히 그동안 너무 높은 상승률을 보여서 그러지 판매율 자체가 낮은 수준은 아니다. 오히려 전가차만큼 판매율이 증가하는 산업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기차 판매 둔화를 이야기 한다는 것은 솔직히 '억까'라고 생각한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르다. 분명히 전기차 판매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며, 올해에도 전기차 판매가 회복될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다만, 우리나라 판매 차량의 대부분이 중국산 저가 LFP가 적용된 차량으로 우리나라의 전기차 판매 둔화를 우리나라 배터리 업체의 판매 둔화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아울러, 올해에는 쉐보레의 이쿼녹스 EV가 판매될 예정이다. 30,000달러의 가격으로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JV인 얼티엄셀즈가 적용된 차량이다.(갑싼 저가 중국산 LFP와 비교 불가하다, 국내 업체인 LG엔솔에서 만든 베터를 수입해야하는 상황도 아이러니하다.)

    30,000달러를 금일자 환율 1331원 적용시 4,000만원 정도이다. 아이오닉5, EV6(NCM811적용)가 5,000~6,000만원대임을 비교하면 수입하여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극히 개인적인 부분이지만 디자인도 아이오닉 보다 났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중국 2차전지의 판매량 증가로 국내 배터리 업체의 점유율이 줄어든다는 이유다. 이 부분은 진짜 말같지도 않은게 중국 내수는 우리나라 배터리 업체의 판매가 0%이다. 이 말은 중국 내 중국차 판매량이 아무리 늘어봤자 국내 배터리 3사의 판매량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즉, 우리 배터리 3사는 중국 내수의 전기차 판매량이 늘어 중국업체의 점유율이 높아져도 어짜피 경쟁 대상이 아니라는 말이다. 우리가 중국 배터리 업체와 경쟁을 해야되는 지역은 미국과 유럽이다. 그 주요한 2개의 지역이 모두 중국산 배터리를 제약하기 위한 법령을 지정하여 시행하고 있다.(IRA법안과 CRAM법안) 어짜피 그들만의 리그에서 판매량이 늘어봤자 우리의 판매량을 뺏어오는 상황도 아니기 때문에 크게 신경쓸 일은 아니라고 본다. 또한, 중국 내에서 만들어지는 벤츠, BMW 등의 차량도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이부분은 확인되지 않은 추측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배터리 점유율이 높아져서 국내 배터리 3사에는 악영향이라는 논리는 하락의 근거로 삼기에는 너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어짜피 우리 배터리3사의 시장이 아닌 곳에서 그들만의 리그에서 판매량이 늘어나는 것이 왜 국내 배터리3사의 주가를 하락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지 도대체 이해가 가지를 않는다.

    여기에 국내 전기차 보조금도 LFP 배터리에 불리하게 적용되고 있다.(아주 잘한 결정이라고 생각한다.) 중국에서는 우리나라 배터리의 보조금은 물론 판매조차 못하게 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중국 배터리에 보조금을 준다는 것은 솔직히 말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일부 유튜버는 LFP 배터리가 적용된 현대, 기아차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에 철회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영상을 봤다. 지금이라도 현대, 기아가 국내 배터리 업체와 협조해서 국내 삼원계 배터리를 적용하면 되는 일이다. 그동안 국내 배터리 업체를 무시하고 중국 배터리 업체와 협력관계를 한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 솔직히 저성능의 차량을 고가로 팔아먹고 있는 행태가 불만이였는데 고소하다는 생각도 한다. 그런 쓸데 없는 주장을 하기 보다는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국내 배터리 업체의 물량을 적용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을 추천한다.

    개인적으로 2023년 1월이 2차전지 섹터의 저점으로 보고 있다. 1~2분기의 실적은 작년 하반기의 실적보다 분명 좋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렇다고 어닝서프라이즈를 낼만큼은 아니라고 본다. 오히려 올해 하반기로 갈 수록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대해 본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